결막염이란 안구의 흰 부분을 덮고 있는 얇고 투명한 점막인 결막에 염증이 생긴 상태입니다. 유발 요인이 무엇인지에 따라 금방 나을 수도 있고 반대로 완치가 어려울 수도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결막염 증상은 무엇이고 치료기간은 얼마나 되는지, 그리고 생활 속 예방수칙에 대해서 간략하게 정리해 보았습니다.
결막염 증상
결막염에 걸리면 눈이 아프거나 가렵습니다. 그래서 대부분 무의식적으로 손으로 눈을 비비게 되는데요. 이 경우 손에 묻어 있던 세균이 침투해 2차 감염을 일으킬 수 있고, 안구에 미세한 상처를 내어 증상을 더욱 악화시킬 우려가 있습니다. 따라서 눈에 이물감이나 통증이 있다고 해서 함부로 만지거나 비비는 일은 없어야 할 것입니다.
눈을 비비고 싶은 충동이 있을 때는 흐르는 물에 눈을 씻기거나 차라리 세안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눈이 계속 아프거나 가렵다면 결막염 증상을 의심해 볼 필요가 있는데요. 아래 나열한 항목은 대표적인 주요 증세를 정리한 것이니 잘 참고해 보시고 본인에게 해당한다면 병원 진료도 고려해 보시기 바랍니다.
- 눈 통증
- 가려움증
- 이물감
- 잦은 눈곱
- 눈물 과다분비
- 충혈
- 부종
기본적으로 눈이 아프거나 혹은 가렵습니다. 또 눈 속에 마치 모래가 들어간 것처럼 이물감이 느껴지기도 합니다. 증세가 심하다면 끈적이는 분비물이 나오는 경우도 있습니다. 또 점막에 있는 얇은 혈관에 염증이 생기면서 눈이 붉어지는 충혈이 생기기도 하고 눈이 붓기도 합니다.
어떤 분들은 결막염 증상에 걸렸는데 귀에도 통증을 호소하기도 하는데요. 이 경우 중이염까지 동반된 것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그리고 결막염은 유발 원인이 세균이나 바이러스 때문이라면 타인에게 전염을 시킬 가능성도 있습니다. 따라서 자연치유를 기다리기보다는 전염을 막기 위해서라도 병원 치료를 받는 것이 좋겠습니다.
결막염 치료기간
세균 감염이 원인이라면 항생제 성분이 들어간 안약을 눈에 점안하여 치료합니다. 이 경우 결막염 치료기간은 1~2주 정도이며 별다른 합병증 없이 완치될 수 있습니다. 바이러스의 경우에는 특별한 치료를 받지 않아도 2~3주 정도면 호전되지만 세균성과 구분이 어렵기 때문에 증상 완화제와 함께 항생제를 처방해 주기도 합니다.
검사 결과 알레르기성 결막염 증상 진단을 받았다면 완치는 어렵습니다. 다만 항히스타민제를 사용하여 염증 반응을 줄일 수는 있습니다. 하지만 알레르기 유발 물질에 접촉하면 병이 다시 재발하기 때문에 환자 스스로 일상 속 관리를 해주는 것이 최선입니다. 가령 먼지나 꽃가루가 원인이라면 해당 물질에 접촉되지 않게 주의해야 합니다.
앞에서도 말씀드렸지만 타인에 대한 전염 가능성이 있습니다. 그렇다고 해서 입원을 할 필요는 없지만 완치 판정을 받기 전까지는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우선 수건은 한 번만 사용한 후 세탁을 하도록 하고, 다른 사람과 함께 사용하지 말아야 합니다.
또 결막염 증상이 있는 분들 중 콘택트렌즈를 사용하는 분들이 있다면 당분간은 착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그리고 손을 자주 씻어주고, 무의식 중에라도 손으로 눈을 만지는 일이 없도록 늘 신경 써야 합니다. 그리고 병이 다 낫기 전까지는 술을 마시지 말아야 합니다. 알코올이 염증을 더욱 악화시킬 수 있기 때문입니다.
결막염은 겨울보다는 여름철에 환자 수가 급증합니다. 그 이유는 날이 습하고 더운 이유도 있지만, 여름에는 물놀이를 자주 가기 때문입니다. 사람들이 밀집되어 있는 물속에서는 전염이 쉽게 일어나기 때문에 경각심을 가질 필요가 있습니다.
따라서 수영이나 물놀이를 할 때는 물안경을 착용하는 것이 좋으며, 물놀이 후에는 몸을 깨끗하게 씻어야 합니다. 결막염 증상이 건강에 큰 위협을 주는 정도는 아니지만 전염 가능성이 있고, 눈이 충혈되고 붓기 때문에 외관상으로도 보기에 좋지 않습니다. 따라서 증상이 있을 때는 적극적인 병원 치료를 받는 것이 좋겠습니다.
눈이 붓는 증상 5가지 이유
아침에 자고 일어났는데 눈이 부어서 곤란했던 경험이 있으신가요? 시간이 지나면서 붓기가 점점 빠지기는 하지만 이런 일이 자주 반복된다면 건강상에 문제가 생겼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또는
expert-kr.tistory.com
'건강백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설사가 계속될때 7가지와 멈추는법 (0) | 2025.05.21 |
---|---|
허리 협착증 증상 4가지와 좋은 운동 (0) | 2025.05.20 |
목에 가래가 항상 붙어 있는 것 8가지 원인 (0) | 2025.05.14 |
간암 초기증상 VS 말기증상 (0) | 2025.05.13 |
비문증 치료방법 VS 자연치유 (0) | 2025.04.09 |